LOADING... 글/그림 :

LOADING...

LOADING...

안녕 자두야 과학이랑 놀자 과학 마술

안녕 자두야 과학이랑 놀자 과학 마술2권

브랜드

장르

과학

글/그림작가

박신식 / 최호정

가격

7,000원

완결여부

완결

발행일

2018-02-20

판매처

작품정보

▣ <안녕 자두야 과학이랑 놀자> 시리즈는 과학이랑 놀면서 친해지는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연계 동화입니다.


▣ 책 소개

마술 속에는 많은 과학이 담겨 있답니다!

마술에는 과학의 원리와 법칙, 소재와 장치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마술과 과학은 서로 다를 것 같지만 마술 속에는 많은 과학이 담겨 있답니다. 그래서 원리를 모르고 보면 마술이 되고, 원리를 알고 보면 과학이 되는 현상들이 무척 많아요.
안녕 자두야 《과학이랑 놀자》 - 과학 마술 편에는 표면 장력, 자극과 반응, 정전기, 마찰력, 열전도, 공기의 힘, 빛의 투과와 반사, 관성, 빛의 굴절 등 초등 과학 교과서에 나오는 기본적인 과학 실험과 마술 같은 과학 이야기가 골고루 들어 있어요.

▣ 차례

과학 마술 1 표면 - 장력물주머니 고슴도치
과학 마술 2 자극과 반응 - 지폐를 잡아라
과학 마술 3 정전기 - 철사처럼 구부러진 물줄기
과학 마술 4 마찰력 - 먹는 걸로 장난치는 거 아니야!
과학 마술 5 표면 장력 - 물에 뜨는 자두
과학 마술 6 열전도 - 수리수리 마수리
과학 마술 7 공기의 힘 - 아빠는 불쌍해!
과학 마술 8 마찰력 - 책에 책을 매달기
과학 마술 9 빛의 투과와 반사 - 난 너의 비밀을 알고 있어
과학 마술 10 관성 - 어떻게든 반대로
과학 마술 11 빛의 굴절 - 내 돈 내놔!
과학 마술 12 무게 중심 - 지폐를 공중에 띄워라

▣ 책 속으로

지폐 위에 동전 올리기 - 준비물 : 지폐 한 장, 동전 1개

이렇게 해 봐요
1. 지폐를 접어 세워요.
2. 그 위에 동전을 올려요.
3. 지폐 위에 동전을 올려둔 채 지폐를 천천히 펼쳐 봐요.

왜 그럴까요?

지폐가 완전히 펴진 후에도 지폐 위에 동전이 올려져 있지요? 그 까닭은 ‘무게 중심’ 때문이에요. ‘무게 중심’이란 물체가 어떤 곳을 매달거나 받쳤을 때 수평으로 균형을 이루는 점을 말해요. 접힌 지폐는 받치는 부분이 넓어져 동전을 쉽게 올릴 수 있어요. 그리고 지폐 위의 동전이 스스로 조금씩 움직이면서 무게 중심을 잡기 때문에 가능하지요. 물론 펼쳐진 지폐 위에 동전을 쉽게 올려놓을 수는 없답니다.

▣ 출판사 리뷰

초등학교 선생님이 꼼꼼하게 교과 단원을 직접 분석하여 쓴 과학 마술 실험 이야기!

이 책에는 초등 과학 교과서에 나오는 기본적인 과학 주제에 대한 이야기가 골고루 들어 있어요. 그리고 그 과학 원리가 담긴 현상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지요.
‘마술’은 단지 눈속임일까요? 마술은 비과학적이고 거짓이나 속임수, 환상일 거라고 생각하지 않나요? 이 책에는 과학 원리가 숨어 있는 눈속임이 아닌 마술 같은 실험 이야기가 담겨 있지요. 이야기를 읽고 스스로 실험하다 보면 자기도 모르게 집중력과 창의력, 문제 해결력이 길러질 거예요. 그리고 반복해서 연습한다면 자연스럽게 마술 속에 숨어 있는 과학 원리를 배울 수 있고 친구들에게 마술을 보여 줄 수도 있겠지요?
무엇보다 현직 초등학교 선생님께서 직접 이야기를 쓰고 실험을 설명했다는 점에서 가장 신뢰감을 줍니다. 그럼 지금부터 과학 마술 여행을 떠나 볼까요?

작가소개

글을 쓴 박신식 선생님은 서울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지금은 서울 돈암초등학교에서 어린이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MBC 창작동화대상, 계몽사 아동문학상, 한국아동문학상, 열린아동문학상 등을 수상하였습니다. 작품집으로는 《곱슬머리 화랑 야나》 《개족사진》 《보건실이 와글와글》 《우리들끼리 해결하면 안 될까요》 《동물농장100》 등이 있습니다.

  • (주)학산문화사
  • 주소 : 서울시 동작구 상도로 282 학산 빌딩
  • 대표전화 : 02-828-8988
  • 팩스 : 02-828-8890
  • 사업자등록번호 : 106-81-54690
  • Copyright ⓒ 학산문화사 All rights reserved.